북한이 대북전단 살포 문제로 재 설치에 돌입했던 대남 확성기방송 시설을 사흘만인 6월 24일대부분 철거하는 정황이 식별돼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6월 24일 오전 인천 강화군 평화전망대에서 바라본 북한 황해북도 개풍군 한 야산 중턱에 설치된 대남 확성기가 철거(원내)돼있다. (사진출처=연합뉴스)

전문가들은 전날 김정은 국무위원장 주재로 열린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예비회의에서 대남 군사행동계획을 보류한 것과 연관성이 있어 보이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나아가 남북 군사적 긴장감을 더 끌어올리지 않고 일단 숨 고르기를 하겠다는 의도라는 분석도 나온다.

군 당국에 따르면 북한은 이날 오전부터 강화·철원 평화전망대 전방 북측지역 등에 재설치한 대남 확성기 방송 시설을 철거했다. 북한은 지난 21일 오후부터 재설치 작업에 전격 착수해 30여개를 설치한 것으로 파악됐다.

하지만 북한은 이날 오후 재설치한 확성기 대부분을 철거한 것으로 식별됐다고 정부 소식통은 전했다.

군 당국은 북한이 확성기 방송 시설 재설치와 철거를 전격적으로 단행한 의도를 정밀 분석하고 있다.

군의 한 관계자는 "오늘 철거 정황이 포착된 것은 당중앙군사위 예비회의에서 결정한 대남 군사행동계획 보류와 관련이 있어 보인다"며 "무엇보다 김정은의 지시가 있었기 때문에 철거 작업이 신속히 진행된 것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대북전단 대응 차원에서 진행돼온 1,200만장의 삐라(대남전단)와 풍선 3,000개를 제작해 승인만 기다리고 있다는 전단 살포 계획도 당분간 중지할 가능성이 크다고 군 당국은 분석했다.

다른 군 관계자는 "일단 당중앙군사위 본회의가 열릴 때까지는 확성기와 전단을 보류할 것"이라며 "북한은 남측의 전단 살포 제지 등의 움직임을 봐가면서 추후 열릴 본회의에서 최종 결정을 내리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그동안 비무장지대(DMZ) 일대에서 삐라가 살포되고 확성기 방송이 재개될 경우 남북 군사적 긴장감이 급속히 고조되고 이에 따른 우발적 무력충돌 우려 목소리가 컸다.

여기에다 2018년 4·27 판문점선언 이후 급진전했던 남북관계가 한동안 교착 국면에 놓였고, 북한이 개성의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전격 폭파한 이후에는 남북 모두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북한이 "예비회의에서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는 조성된 최근 정세를 평가하고 조선인민군 총참모부가 당 중앙군사위 제7기 제5차 회의에 제기한 대남 군사행동계획들을 보류했다"고 밝힌 것을 보면 북한도 상황 관리 필요성을 판단한 것 같다는 분석도 나온다.

군과 전문가들은 북측이 대남 확성기를 가동하고 남측도 맞대응할 경우 오히려 불리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것 같다는 분석을 내놨다.

북한 확성기는 출력이 낮아 방송 내용이 잘 안 들릴 때가 많았지만, 남측은 20㎞ 이상 거리에서도 들을 수 있는 신형 고정식 및 이동식 확성기를 다수 보유하고 있다.

아울러 북한의 대남 군사행동계획 예고 이후 미국의 B-52 장거리 폭격기 등이 한반도 주변에 자주 전개되고, 최근에는 미국 항공모함 3척이 한반도를 포함한 7함대 작전구역에 전진 배치된 것 등에 부담을 느꼈을 것이란 관측도 대두되고 있다.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