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정부가 삼성전자 임직원의 입국을 금지하고 이란 내에서 삼성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고 경고 메시지를 날렸다.
 
 ▲테헤란 시내의 한 전자제품 매장(사진제공=연합뉴스)

이란 정보통신부의 고위 관리는 18일(현지시간) 삼성전자가 미국의 제재를 피하려고 이란 시장에서 발을 빼고 서비스를 축소하려는 움직임에 대해 '징벌적 조처'를 하겠다는 뜻을 표했다.
 
모하마드 자파르 나낙카르 이란 정보통신부 법무국장은 이란 국영 프레스TV에 "삼성전자에 대한 일련의 조처가 준비됐다"라고 말했다.
 
현재 이란에서는 갤럭시스토어의 무료앱만 내려 받을 수 있다. 유료앱은 최근 서비스가 중단된 상태다. 삼성전자는 그 동안 이란 내 사용자가 이란 국내 결제 시스템과 연결해 유료앱을 살 수 있도록 했지만, 지금은 이를 통해 결제할 수 없도록 했다.
 
갤럭시스토어의 무료앱도 다음달부터 서비스가 중단된다는 이란 언론의 보도도 나왔다. 중동 일부 언론은 삼성전자가 이달 말부터 이란에 스마트폰을 수출하지 않기로 했다는 소식을 전하기도 했다.
 
나낙카르 법무국장은 "삼성전자가 갤럭시스토어에서 앱을 다시 판매하도록 행동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이에 대응한 법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삼성전자의 갤럭시스토어 서비스 제한으로 이란의 앱 개발자들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라며 "삼성전자가 재고하지 않으면 중국 화웨이, 샤오미와 더 협력하는 대안도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란의 스마트폰 시장은 연 1천만대 정도로 삼성전자의 점유율은 최고 50% 정도로 추산된다.
 
이란 내 가전제품 시장에서도 성공을 거둔 삼성전자는 2018년 8월 복원된 미국의 대이란 제재로 핵심 부품 수입이 극히 제한되면서 지난해 말부터 현지 조립 생산도 사실상 중단했다.
 
 ▲이란 수도 테헤란에서 삼성전자 매장 간판이 철거되고 있다.(사진제공=연합뉴스)
 
테헤란 시내에서는 삼성전자의 가전제품 판매장의 간판이 현지 업체인 '삼전자'로 바뀌는 추세다. 부품 수입 제한으로 삼성전자의 제품을 생산하지 못하게 되자 중국에서 부품을 수입해 자체 상표로 판매하기 위해서다. 삼전자는 삼성전자의 제품을 조립·생산하고 유통을 담당하는 협력사다.
 
앞서 세예드 압바스 무사비 이란 외무부 대변인은 12일 자신의 트위터에 삼성전자의 간판이 철거되는 사진과 함께 "미국의 제재에 동참해 이란을 떠나는 외국 회사가 다시 이란으로 되돌아오기는 매우 어려울 것"이라고 경고하는 글을 올렸다.
 
이란 정부가 삼성전자에 적대적인 경고를 날린 일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18년 2월 평창동계올림픽에서 참가 선수단에게 삼성전자의 '갤럭시노트8'이 선물로 증정됐지만,  이란 선수단에게는 유엔 제재를 이유로 지급되지 않았던 일이 있다.
 
이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결정이었지만 이란 당국은 주이란 한국대사를 소환해 항의했다. 이란 검찰은 삼성전자 테헤란 지사의 책임자를 소환하고 세무조사를 언급하면서 공식 사과를 요구하며 압박한 바 있다.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