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아 수 하락, 고령화 상승.(사진제공=연합뉴스)

고령화로 지난 23년간 실질금리가 3%포인트 하락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 경제연구원이 13일 발간한 BOK경제연구 '인구 고령화가 실질금리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는 20∼64세 대비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1995년 9.6%에서 2015년 19.4%로 오르면서 실질금리를 1995년에서 2018년까지 23년간 3%포인트 떨어뜨렸다고 분석했다.

실질금리가 낮아진다는 건 물가를 제외하고 투자·예금을 통해 손에 쥐는 수익이 적어진다는 의미다. 한은은 "인구 고령화로 은퇴 이후 생존 기간이 늘어나 저축이 늘고 소비가 감소한 결과"라며 "고령화 효과가 한국의 실질금리 하락을 상당 부분 설명할 수 있다"고 밝혔다.

실질금리는 1995년 9.0%에서 2018년 0.4% 안팎으로 8.6%포인트 하락했다. 실질금리 하락폭의 3분의 1이 고령화 여파로 추정되는 셈이다.

일반적으로 저축률이 높아지면 금리는 낮아지는 데다, 저출산에 청년 인구가 줄면 경제의 기초체력인 잠재성장률이 낮아져 금리도 떨어지게 된다. 금리는 장기적으로는 잠재성장률 추세와 함께 움직이기 때문이다.

보고서 저자들은 "기대수명 증가가 실질금리 하락에 미친 영향이 인구 증가율 감소로 인한 영향의 두 배"라며 "기대수명 증가로 인한 실질금리 하락분이 2%포인트라면, 인구 증가율 변화에 따른 낙폭은 1%포인트"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향후 인구 고령화가 지속하면 실질금리가 지금보다 더 떨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