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수소가 친환경 에너지 혁명을 이끌 원천이 될 것이라며 올해 1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내놓았다. 구상안의 핵심은 ‘수소연료전지차 활성화’다. 수소차는 미래 성장 동력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지만, 한편에서는 비효율적이라는 지적도 있다.

 

 ▲수소차 내부 모습(사진제공=연합뉴스)

 

정부는 수소경제를 데이터, 인공지능과 함께 ‘3대 전략투자’ 분야로 선정하고, 1,000억 원의 예산을 투자하는 등 전폭적인 지원에 나서고 있다. 수소경제가 온실가스 감축, 미세먼지 저감, 재생에너지 이용 확대 등 친환경 에너지 확산에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달 22일에는 ‘수소 인프라 및 충전소 구축 방안’을 발표했다. 오는 2022년까지 전국 주요 도시와 고속도로에 수소충전소 310곳(누적 기준)을 설치해 수소차 운전자들이 최대 30분 이내에 충전소에 도달할 수 있게 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는 2022년까지 수소차 6만 7,000대(승용차 6만 5,000대. 버스 2,000대) 보급 목표를 달성한다는 전제와 연간 약 3만t의 수소가 필요하다고 예상한데 따른 것이다.

 

현재는 총 8기의 수소 충전소가 가동 중이다. 앞으로 3년 안에 전국 주요 도시에는 일반 충전소 190기, 버스 전용충전소 60기 등 250기가 구축될 예정이다. 고속도로 등 교통거점에 있는 충전소는 2022년까지 누적 60기가 배치된다. 장기적으로는 2030년까지 누적 660기, 2040년에는 누적 1,200기를 구축할 계획이다.

 

정부가 수소차에 집중 투자를 하고 있지만, 한편에서는 기대만큼의 환경효과가 있을지에 대해 적잖은 논란이 일고 있다.

 

수소차는 수소와 산소를 반응시켜 생기는 전기로 모터를 돌리는 방식이다. 배출가스 대신 물이 나오고, 달리면서 미세먼지를 정화시켜 ‘저공해차’, ‘친환경차’라는 평가를 받는다.

 

하지만 물을 전기분해해 수소를 만들고, 생산된 수소를 다시 전기로 바꿔 모터를 돌리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란 평가도 있다.

 

수소 운반을 위해 고압으로 충전하는 과정에서도 상당한 에너지가 든다. 궁극적으로는 더 많은 에너지 소비, 온실가스 배출이 우려된다는 지적이다. 이런 이유로 현재로써는 수소차가 전기차에 비해 환경적 이점이나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분석이 많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수소 경제를 위해서는 수소차에 한정된 개발이 아닌, 일본·독일처럼 수소 생산과 저장·운반 등 수소 공급에 대한 기술 고도화에 먼저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다만 버스·트럭 등 장거리 대형 상용차와 기차·선박 시장에서는 수소 연료가 경쟁력이 있을 것이라는 전망에는 대부분 동의하고 있다.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