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검열 대국'이라고 불릴 정도로 온라인 통제가 엄격하다. 세계 최고 수준의 온라인 검열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중국은 최근 검열 서비스 수출에도 나서고 있다.

 

 ▲구글에서 중국 검열 기준에 맞춘 검색엔진 드래곤 플라이(사진제공=연합뉴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7일 중국의 한 인터넷 기업이 여러 국가와 인공지능(AI) 기반의 검열 서비스 수출을 적극적으로 추진 중이라고 보도했다.

 

중국 생방송 플랫폼 기업 YY 사의 자회사인 비고(BIGO) 사는 지난 2017년부터 인도네시아 통신정보기술부(KOMINFO)와 협력 관계를 맺고 검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검열 서비스는 현재 인도네시아 소셜미디어와 모바일 메신저 등에서 음란물, 사기, 도박, 테러 등 '부정적 콘텐츠'를 탐지하고 차단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부적절한 콘텐츠를 차단하려는 각국 정부의 규제 움직임이 활발해지면서 중국 인터넷 기업의 검열 서비스 수출도 활력을 얻는 모양새다.

 

지난 4월 뉴질랜드 이슬람 사원에서 벌어진 총격 테러 사건이 페이스북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17분간 생중계된 후 각국 정부는 인터넷 기업에 부적절한 콘텐츠를 최대한 빨리 걸러낼 것을 요구하고 있다.

 

현재 비고 사는 베트남, 이집트, 인도 그리고 중동 각국 정부와 검열 기술 수출을 논의 중이다.

 

비고 사는 "AI 기술을 활용한 이미지 분석으로 음란물, 폭력, 테러 등과 관련된 정보를 99%의 정확도로 걸러낸다"며 "콘텐츠 분석 작업에는 AI는 물론 세계 각국에 있는 2천여 명의 직원이 투입된다"고 밝혔다.

 

사회 통제가 엄격한 중국은 온라인 검열 기술에서도 세계 최고 반열에 올라있다.

 

음란물이나 폭력과 관련된 정보는 물론 톈안먼(天安門) 민주화 시위, 대만 문제, 티베트 독립 등 정치적으로 민감한 콘텐츠를 인터넷 기업이 걸러내지 못하면 당국의 엄한 제재를 받기 때문이다.

 

한편 검열 서비스가 정치적 통제에 악용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비고 사 관계자는 "우리는 중립적인 서비스 제공업체"라며 "우리는 이른바 부엌칼을 판매하는 것뿐이고, 칼로 채소를 자를지 고기를 썰지는 고객이 결정할 일"이라고 반박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