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세기에 이르는 기간동안 한반도 분단의 상징이 된 휴전선 주변의 비무장지대(DMZ·demilitarized zone)는 우리 민족사의 비극의 현장이지만, 아이러니하게도 환경적 측면에서는 생태계의 보고로 존재하는 지역이다.
 
 ▲정재숙 문화재청장(가운데), 이재명 경기도지사(왼쪽), 최문순 강원도지사가 11일 오후 중구 한국의집에서 비무장지대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남북 공동등재를 위한 협약을 한 뒤 손을 맞잡고 있다.(문화재청 제공, 출처=연합뉴스)

지난해부터 시작된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 등으로 남북의 관계자 대치관계에서 화해무드가 조성되기 시작하면서 DMZ의 세계유산 남북 공동등재를 추진하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중앙정부기구인 문화재청은 지자체인 경기도, 강원도와 함께 지난 7월 11일 오후 2시 서울 중구 한국의집에서 ‘비무장지대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남북 공동등재’를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를 계기로 정부와 해당 지자체인 경기·강원도는 DMZ를 남북 화해와 평화 상징으로 탈바꿈을 모색하는 한편 DMZ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체계적으로 준비하기로 했다.

이날 협약식에서 정재숙 문화재청장, 이재명 경기도지사, 최문순 강원도지사는 한 목소리로 오랜 분단의 상처로 인한 고통과 죽음과 비극의 땅인 DMZ를 세계유산으로 등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계기로 분단의 상징이 평화와 희망과 인권의 상징이 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DMZ 세계유산 남북 공동등재가 쉽지 않은 과제이지만, 한반도에 평화 기류가 흐를 때 힘을 합쳐 추진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남북협의와 관련해 문화재청은 남측 대표기관으로서 대북 협의를 주관하고, DMZ 세계유산 남북 공동등재 실무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했다. 경기도와 강원도는 북측 참여와 성과 도출을 위해 협력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문화재청은 우선 이달 안에 실무협의체를 꾸려 첫 회의를 열고, 세 기관은 연말까지 DMZ와 접경 지역 문화재를 조사하기로 했다.

아울러 문화재청이 지난 3월 출범한 남북문화유산 정책포럼을 지자체가 공동 개최해 DMZ 문화재의 종합적 보존관리 방안을 만들고, 관련 특별법 제정과 국제 심포지엄 개최에도 협력하기로 했다.
 
 ▲비무장지대(사진출처=연합뉴스)

현재 DMZ는 한국전쟁 이후 인간 발길이 거의 닿지 않아 멸종위기종 100여 종이 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생태계가 잘 보존됐다는 점에서 자연유산 가치가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 후삼국 시대 궁예가 10세기 초반 강원도 철원에 세운 계획도시인 태봉국 철원성과 한국전쟁 상흔이 남은 전쟁유산이 있어 문화유산 등재가 가능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이러한 장점을 살려 세계유산 등재를 위해 국방부, 통일부 등 유관 부처와도 협의해 비무장지대 남북 공동등재를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