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10~11일의 7번째 한미정상회담 시점과 맞물려 북한에서는 최고인민회의가 열렸다. 11일 개최된 북한의 이번 최고인민회의는 지난 2월 2차 북미정상회담이 결렬된 이후에 마련된 북한의 주요 정치행사다. 특히 이민 최고인민회의는 향후 한반도의 정세변화와 북한의 대미관계의 행보 변화를 가늠해 볼 수 있어 이목이 집중됐다.
 
 ▲북한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1차회의가 지난 11일 만수대의사당에서 열려 김정은 정권 2기를 확고히 했다.(사진출처=연합뉴스)

북한의 최고인민회의 제14기 1차 회의에서 출범한 김정은 정권 2기는 국무위원장의 대외적 지위 강화와 세대교체가 특징이다. 이 회의에서 김정은 위원장에게 북한을 대표하는 실질적이고 상징적인 국가수반의 지위가 부여됐다. 또 그가 위원장으로 있는 국무위원회를 국정 전반을 운영하는 국가기구로 확대했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의 보도에 의하면 이번 최고인민회의에서 헌법 개정이 이뤄졌다. 이 과정에서 주요 권력기관 인사이동이 있었다.

최룡해는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과 신설 국무위원회 제1부위원장에 임명됐다. 이는 상임위원장이 김정은 국무위원장 아래인 제1부위원장으로 자리하게 돼 그동안 ‘대외적 국가수반’의 지위가 국무위원장에게 넘어간 것임을 보여준다. 과거 김영남 상임위원장은 국무위원회 부위원장이 아니었다.

즉 이번 최고인민회의에서 헌법 개정으로 실질적 국가수반이지만 대외적으로는 국가수반이 아닌 김정은 위원장이 이제 대외적·법적으로 북한의 실질 국가수반임을 명시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로써 지난해 국무위원장 직책으로 한국 및 미국의 정상과 회담을 했던 김정은 위원장이 앞으로 더 활발한 북미 등 주요국과의 정상외교를 펼칠 것으로 예상된다.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김동엽 교수는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 국무위원장 아래(제1부위원장)로 재편됐다면 대외적 수반은 국무위원장이 맞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김정은 위원장에게 대외적인 국가수반의 지위가 부여됐다는 것은 국무위원회의 지위와 역할의 강화를 의미한다.

이번 최고인민회의에서 부각된 최룡해는 김정은이 위원장인 국무위원회 제1부위원장을 겸직함으로써 공식 서열이 김정은 위원장 다음 가는 2위가 됐다. 또 노동당에서도 김정은 위원장과 함께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영향력을 유지하게 돼 막강한 2인자 지위를 확고히 했다.

북한은 또 이번 최고인민회의에서 국가 권력기구의 수장들을 모두 바꾸는 등 김정은 2기 정권을 이끌어갈 권력집단의 세대교체를 단행했다. 이 과정에서 비교적 젊은 인사들이 발탁됐다.

이는 곧 김정은 위원장이 지난 7년간 노장청을 적절히 결합하며 안정적으로 국정 운영을 해온 자신감을 바탕으로 2기 출범을 세대교체의 기회로 삼은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미국에 양보하지 않겠다”며 ‘자력갱생 경제발전’ 노선을 제시한 김 위원장이 비교적 젊은 인사들의 물갈이를 통해 분위기를 일신하려는 의도라는 시각이다.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