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은 한국교회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그 중 하나가 바로 공간이다. 코로나19 이후 비대면이 일상이 되면서 대부분의 교회가 평일엔 비어있는 상황. 공간에 대한 깊은 통찰로 주목을 받은 유현준 교수(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가 이번엔 코로나19로 늘어난 교회의 빈공간에 주목했다. 
 
 ▲본지와 인터뷰 중인 유현준 교수 ⓒ데일리굿뉴스 


코로나19 이후, 주일에도 텅 빈 성전을 보는 것이 어렵지 않은 요즘. 교회 내 공실은 점점 늘어만 간다. 모이기를 힘쓰라는 성경말씀이 무색해진 지 오래다. 반면 사회에선 갈 곳이 줄고 있다. 코로나19 감염을 우려해 보다 안전한 공간을 찾아 나서지만 맘 놓고 차 한잔 마시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유현준 교수는 코로나19가 오프라인 공간의 양극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지적한다. 코로나19로 안전한 공간, 즉 밀도가 낮은 공간의 수요는 늘어나고 있지만, 도시 면적은 제한돼 있어 경제적으로 여유 있는 계층에 집중될 수 있다는 것. 유 교수는 대안으로 교회 내 공간에 주목했다. 다음은 유 교수와의 일문일답.

-코로나19, 공간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나.
"같은 시공간을 공유하며 생기는 공동체 의식이 바뀌게 된다.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게 기독교라고 생각한다. 그동안은 일주일에 최소 한번 같이 예배드리는 시공간을 공유했다. 하지만 온라인으로만 예배드리는 상황이 늘면서 공동체 의식이 많이 변화될 것이다. 또 사회적으로는 ‘오프라인 공간의 양극화’가 될 수 있다. 밀도가 낮은 공간이 안전한 공간이 되면 상위 계층이 더 많은 공간을 쓰려는 현상이 나타날 것이다. 공간의 면적은 제한돼 있다. 위에서 많이 쓰면 밑에 남아있는 공간이 별로 없다. 단가도 오르게 된다. 중하위 계층은 갈 곳이 없어지면서 가상공간 안으로 밀려들어 갈 수 있다."

-과거에도 팬데믹은 발생했다. 역사에서 교훈을 얻을 수 있지 않나.
"공간적인 측면에서 보면 가상공간이라고 하는 새로운 대안이 나왔다. 교회를 예로 들면 우리가 굳이 예배당에 모이지 않고서도 말씀을 들을 수 있기 때문에 교회로 안 모일 가능성이 조금 더 커졌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인간은 몸을 갖고 있기 때문에 온라인으로 만족하지 않는다. 전염병이 있었지만 시간이 지나고 시대가 지나면 사람들은 다시 도시로 모여들고 도시의 규모는 점점 더 커졌다. 결국은 몸을 갖고 있고, 또 다른 사람을 필요로 하는 인간들은 모일 수밖에 없다. 그리고 그 공간은 오프라인이 될 것이다."
                                                                         
-한국교회의 공간에서 대안 찾을 수 있나.
"교회가 갖고 있는 오프라인 공간들을 새롭게 변형시켜야 한다. 많은 교회의 공간이 주중 비어있다. 오프라인 공간의 부족함을 느낄 중하위 계층에게 공간을 제공해줄 수 있어야 한다. 반드시 기독교인들에게만 공간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복음은 기독교인에게 전파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비기독교인에게 전파해야 하지 않나. 그렇다면 교회가 믿는 사람들의 구분된 공간이라고만 생각할 필요가 없을 것 같다. 그렇게 된다면 복음도 자연스럽게 전해질 수 있다고 본다. 다행인지 불행인지는 모르겠지만, 한국교회는 7~80년대를 거치면서 부동산을 상당히 많이 취득했고 공간을 많이 소유하고 있는 상태다. 이제는 그 많은 공간을 어떻게 효율성 있게 쓰느냐의 문제다."

 ▲본지와 인터뷰 중인 유현준 교수 ⓒ데일리굿뉴스 


-효율적인 공간의 활용, 구체적으로 설명해달라. 
"청년들이 카페에 많이 가거나 공유오피스를 쓰는 이유는 공간이 부족해서다. 대부분의 큰 교회에는 분반공부실이 있다. 주말·주일은 분반공부실로 쓰고 주중에는 공유오피스로 쓸 수 있게끔 공간을 바꿔주는 거다. 주방을 공유주방으로 개방해서 자기 주방이 없는 사람들이 와서 밥을 해 먹고 치울 수 있게 제공할 수도 있다. 거기에 교인들도 와서 같이 도와주거나 청소해주는 사역을 할 수 있지 않나. 특히 청년층들의 주거가 열악하다. 사회적인 지원 대상에 속하지 않으면서도 어려운 젊은 청년들이 많다. 편안하게 쉴만한 자기의 공간이 없는 청년들이 이 도시 안에 많다. 교회가 그들을 위한 공간을 많이 확보할 수 있다고 본다."
 
-최근 한 NGO가 발표한 조사에 따르면, 취약계층 아동 절반가량이 열악한 학습 여건 속에서 성적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공간이나 책상·의자가 없는 아동도 26.3%에 달했다는데.
"취약계층뿐만 아니라 맞벌이 가정 등 적지 않은 아이들이 집에서 혼자 온라인 수업을 듣는다. 혼자 점심을 챙겨 먹어야 하는 경우도 많다. 앞으로 학교 공간에 대한 패러다임이 바뀌어 반드시 등교할 필요가 없고, 위성학교가 생긴다면 이 아이들에 대한 돌봄이 필요하다. 교회는 공간만큼 자원봉사자들도 많다. 교회가 자원봉사자들을 통해 아이들이 온라인 수업을 잘 듣도록 돕고, 간식이나 점심을 챙겨줄 수 있으면 어떨까. 이 아이들에겐 어른들의 도움이나 손길이 필요한데 지역 교회들이 그런 부분을 채워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런 공간을 제공하는 교회들도 있다. 하지만 교회 안으로 들어가는 것 자체가 쉽지 않다는 목소리가 크다.
"단계가 필요하다. 자칫 ‘우리 교회에 무엇을 만들어 놨으니 알아서 찾아오세요’라는 메시지가 될 수 있다. 우연히 교회에 들어갈 수 있을 만한 공간적인 배려도 있어야 하지 않나. 중요한 것은 편안하게 들어왔다 나갈 수 있는 공간이다. 그러려면 1층을 얼마나 투명하게 만드냐가 관건이다. 마당 같은 개방적인 공간도 중요하다. 되도록 기도교인과 비기독교인이 공통으로 왔다 갔다 할 수 있는 공간을 많이 남겨놔야 한다. 특별히 상가교회의 경우 옥상을 잘 개발했으면 좋겠다. 분명히 지금도 버려져 있는 옥상이 많을 거다. 몇 평이 안 되더라도 2m 벽을 쳐서 하늘만 보게 하는 건 어떨까. 그런 것들이 우리가 공간을 통해서 전도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세종산성교회 전경 ⓒ데일리굿뉴스


-교수님이 설계한 세종산성교회는 어떠한가. 실제 많은 사람이 교회 공간을 부담 없이 이용한다고 들었는데.
"세종산성교회의 경우 카페 등 친교실과 도서관 같은 공간들을 1층으로 내렸다. 1층 공간은 투명하게 만들어 밖에서 안이 보이고, 그 공간 앞으로는 조그마한 앞마당이 있다. 비를 피할 수 있는 처마와 같은 공간도 만들었다. 좋은 사례를 들은 적이 있다. 이 교회는 겉으로 봤을 땐 십자가를 찾기 힘들다. 바람이 불면 십자가가 흔들리면서 소리가 나는 게 특징이다. 한 무속인이 교회 앞을 지나가다 소리에 이끌려 교회에 들어왔고, 회심해 교인이 됐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결코 문턱이 높은 교회 같지는 않다."

-교회의 공간 개방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시대는 바뀌었는데 형식을 바꾸지 못하기 때문에 오히려 본질이 손상되는 경우도 있다. 그렇다고 오픈하고 개방하자는 게 소금의 맛을 잃을 때까지 하자는 이야기가 아니다. 그러면 정말 끝나는 게 아닌가. 무엇이 바뀔 수 있는 부분이고 무엇이 바뀌지 않아야 하는 부분인지 구분해야 한다. 교회의 본질을 훼손하지 않은 범위에서 변화를 줄 수 있는 고민과 지혜가 필요하다."
                                                                   
-포스트코로나 시대, 가장 이상적인 공간은 무엇일까.
"결국 돌봄의 공간이 아닐까 싶다. 요즘 베스트셀러를 보면 대부분 위로하는 책들이다. 말로써 하는 위로도 필요하지만, 공간적인 위로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혼자서 조용히 쉴 수 있는 공간일 수도 있고 혹은 따뜻한 사람들과 함께 만날 수 있는 공간일 수도 있다. 낮에 혼자 있을 수밖에 없는 아이들이나 갈 곳 없고 일자리 없는 청년들을 돌볼 수 있는 공간일 수도 있다. 육체뿐만 아니라 심리적으로도 돌봐주는 전반적인 돌봄 공간이 필요한 것이다. 그리고 교회가 해야 하는 일이 아닌가 생각한다."

-한국교회에 바라는 점은.
"공간의 운영체계를 바꿨으면 좋겠다. 우리가 지난 3~40년 동안 해왔던 OS라고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업그레이드를 한번 할 때가 되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그리고 그런 변화를 너무 두렵지 않게 느끼셨으면 좋겠다."

[천보라 기자]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