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훈 목사 ⓒ데일리굿뉴스
1960년 중앙아시아의 대형 호수 아랄해는 정말 바다라는 이름이 어울리는 거대한 호수였다. 그 당시 이 호수는 총면적이 6만 8,000㎢에 달하는 세계에서 4번째로 큰 호수였다. 이는 남한 전체 면적의 약 3분의 2에 해당하는 엄청난 크기다.

그런데 2010년 불과 50년만에 이 호수는 면적이 10분의 1로 줄어들었다. 이를 회복시키기 위해 아랄해 주변 국가들이 논의를 계속하고 있지만 아직까진 별다른 성과가 없다.

이러한 재해가 벌어진 것은 1960년대 소련이 하얀 금이라 불리던 목화를 대량 재배를 시작했기 때문이다. 목화 농장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물이 필요했고 소련은 아랄해로 흘러들어 가는 아무다리야 강과 시르다리야 강에 100여 개의 크고 작은 댐을 세우고 수로를 연결해 목화 재배에 필요한 물을 충당했다.

처음 몇 년은 막대한 수자원과 값싼 노동력을 바탕으로 소련의 목화산업은 성공하는 듯 보였다.하지만 물의 유입이 막힌 호수가 급격하게 줄어들면서 수많은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했다. 호수의 밑바닥이 드러나면서 아랄해의 어류 생태계는 완전히 무너졌다.

한때 연간 4만t에 달하던 어획량을 자랑하던 아랄 해였으나 지금은 아랄 해의 모든 어류가 멸종한 것으로 보인다. 아랄 해는 본래 약한 염도를 품고 있었다. 물이 사라진 지역은 소금 사막이 돼 주변에 연간 1억 톤의 소금 먼지를 뿌리고 있으며, 호수가 남은 지역은 치솟은 염도로 인해 생물이 살기 어려운환경이 됐다.

또한 목화를 키우기 위해 뿌려진 비료와 살충제가 고스란히 아랄 해로 흘러들어가 아랄 해를 식수로 사용하는 지역의 주민들의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 인근 지역의 기형아 출산이 증가했으며, 1989년에는 아랄해 남쪽 해안 카라칼파크스탄 지역의 어린이 사망률이 세계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20세기 최악의 환경 재해라고까지 불리는 아랄 해의 몰락은 생태계에 대한 무지 때문에 일어난것만은 아니다. 아랄 해가 이렇게까지 악화된 것은 1∼2년 만에 이뤄진 것이 아니다. 50년의 시간 동안 서서히 일어난 사건이다.

그럼에도 이 재앙을 막지 못한 것은 욕심이 사람의 눈을 가리고 있었기 때문이다. 아랄해를 살리려고 할 때 당장에 다가오는 손해 때문에 지금도 아랄 해의 회복 계획은 명확하게 세워진 것이 없다.

욕심이 눈을 가리면 사람은 올바른 것을 보지 못한다. 잠언 14장 12절은 “어떤 길은 사람이 보기에 바르나 필경은 사망의 길이니라”라고 말씀한다. 댐을 세워 목화를 재배하는 것은 바른길 같아 보였지만 결국 모두가 피해를 보는 사망의 길이었다.

아브라함과 롯의 목자들이 갈등을 겪었을 때 롯은 욕심의 눈으로 좋게 보이는 물이 넉넉한 소돔과 고모라 지역으로 갔다. 그곳은 사람이 보기에 바른길 같아 보였지만 결국 롯과 그의 가족을 죄와 절망으로 몰아넣은 잘못된 길이었다.

그러나 아브라함은 자신이 보는 땅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보라고 하는 땅을 바라보고 나아가 놀라운 축복을 누릴 수 있었다.

2021년 새해가 시작됐다. 작년부터 우리를 고통스럽게 하는 코로나19 상황이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지난 1년 동안 코로나19의 발생부터 대처에 이르기까지 우리는 바이러스에 대한 두려움과 자신의 삶을 지키려는 욕심이 눈을 가려 바른길로 보이는 잘못된 길에 많이 들어섰다가 큰 어려움을 겪었다.

새해에는 내 눈으로 답을 찾으려고 서두르지 말자. 눈을 감고 하나님의 음성에 귀를 기울이자. 짙은 안개처럼 한 치 앞을 알 수 없는 불안하고 두려운 내일이지만 하나님의 말씀을 의지해 나아가면 결국엔 모든 것이 합력하여 선이 이뤄지는 은혜가 임하게 될 것이다

[이영훈 위임목사 기자]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